참 여
기사 보러가기: http://www.jndn.com/article.php?aid=1733363656399985003
광주시민 1년에 책 6.4권 읽는다
광주시 도서관·독서 현황
독서인구 1인당 평균 12.4권
도서관 인프라·이용 경험
전국 평균 대비 10%p 높아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책읽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민은 1년에 6.4권의 책을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광주연구원이 발간한 ‘광주시 도서관·독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인구 1인당 평균 독서권수는 6.4권, 독서인구 1인당 평균 독서권수는 12.4권으로 나타났다. 10년 전과 비교할 때 독서인구 1인당 독서권수는 2013년 17.1권에서 2023년 12.4권으로 4.7권 감소했다.
1인당 연간 독서권수는 전국 평균보다 0.8권 낮으며, 독서인구 1인당 독서권수는 전국 평균보다 2.4권 낮게 나타났다. 매체별 독서량은 종이책 8.7권, 전자책 3.3권, 오디오북 0.4권으로 종이책 응답이 높았다.
광주시민의 독서선호도는 45.0점으로 전국 평균보다 3.4점 높았다. 시민들이 선호하는 독서장소는 집으로 나타났으며 전국 평균(16.9%) 대비 밖에서 출퇴근, 출장, 통학 목적의 이동 공간을 독서선호 장소로 선택한 응답(3.3%)은 낮았다.
종이책 구입처는 인터넷서점이 많았다. 인터넷서점을 응답한 비율이 32.5%로 전국 평균인 25.2%보다 다소 높았으며, 무료나 대여 등을 이용한다는 응답도 21.0%로 전국 평균인 15.8%보다 높았다.
광주시민의 도서관 이용 응답은 25.4%, 광주 독서자의 도서관 이용 응답은 44.7%로 전국 평균보다 각각 11.1%, 11.4% 높았다. 독서 활동 참여경험은 12.6%로 전국 평균인 4.7%보다 높았다.
광주시 도서관은 731개로 공공도서관 30개, 작은도서관 362개, 대학도서관 18개, 학교도서관 309개, 장애인도서관 1개, 전문도서관 10개, 교정시설도서관 1개로 나타났다. 2019년과 비교해 공공도서관은 7개 증가했고, 작은도서관은 32개 감소했다. 자치구별로 북구가 공공도서관 7개, 작은도서관 142개로 가장 많았으며, 동구가 공공도서관 5개, 작은도서관 34개로 가장 적었다.
김광욱 선임연구위원은 “도서관 인프라와 도서관 이용 경험이 전국 평균 대비 10%p 높은 점은 광주의 강점이자 책 읽는 도시 광주를 만들 수 있는 기반”이라며 “1인당 연간 독서권수 감소는 광주만이 아니라 전국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으로 독서 활동의 패턴이 변했다는 신호일 수 있어 이에 대응하는 도서관 및 독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전남매일(http://www.jndn.com/)